일상 감각 연구소 - 먹고 자고 일하는 인간의 감각에 관한 크고 작은 모든 지식
옥스퍼드 통합감각연구소 소장이 전하는 감각의 과학!
감각은 어떻게 우리의 생각과 기분을 뒤바꿔 놓을까?
우리는 감각의 힘을 너무 과소평가한다. 아니, 평소 감각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기는 할까? 감각은 인간이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를 처음 수용하는 기관이다. 그렇기 때문에 감각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생각과 기분은 놀랍도록 뒤바뀐다. 감각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찰스 스펜스는 옥스퍼드대학교 통합감각연구소 소장으로, 20년 넘게 사람들이 어떻게 주변 세계를 인식하는지 연구해온 실험심리학자이다. 그는 이 책에서 감각 과학을 통해 알게 된 과학적 지식을 일상에 적용하면, 아주 작은 몇 가지 변화만으로도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자신한다.
감각이 우리가 느끼는 모든 것에 걸쳐 있듯, 찰스 스펜스의 연구 주제도 엄청난 스펙트럼을 자랑한다. 그는 존슨앤존슨부터 유니레버, 듀럭스와 같은 세계적 기업들과 인간의 감각에 관한 다양한 협업 연구를 진행해왔고, ‘씹을 때 듣기 좋은 소리가 나는 과자가 더 맛있다고 믿게 된다’는 논문으로 이그노벨상을 받기도 했다. 다방면에 호기심이 많은 이 괴짜 과학자는 학문적으로 가치 있는 연구뿐 아니라, 어떤 이유로 중단할 수밖에 없었거나 아직 미지의 영역인 연구 주제에 대해서도 애정을 갖고 유쾌하게 소개한다. 그가 안내하는 새로운 감각의 세계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의 일상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모든 경험에서 감각이 어떤 힘을 발휘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그 힘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깨닫게 될 것이다.
침대와 사무실을 거쳐 헬스장과 쇼핑센터를 넘나드는 ‘감각 사용설명서’
아주 조금만 바꾸어도 일상은 더 나은 쪽으로 변화한다
《일상 감각 연구소》는 평범한 삶을 사는 사람들이 매일 생활하는 환경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관문부터 시작해 거실, 주방, 욕실을 살펴보며 집을 더 쾌적하고 살기 좋게 만드는 법을, 정원을 통해 자연이 주는 이점을, 침실 환경을 통해 숙면을 취하는 방법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출퇴근길에 자가용을 안전히 운행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들과, 생산성을 높이는 사무실 환경은 어떻게 꾸며야 하는지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여가인 쇼핑과 데이트, 스포츠와 헬스케어에 대해 다룬다. 더 열심히 운동하고, 질병이나 부상에서 더 빨리 회복하도록 돕는다고 입증된 효과적인 방법들을 만날 수 있다.
책에는 실용적인 조언들도 많지만, 기발하고 유쾌한 연구들이나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생각해보면 좋을 문제들도 담겨 있다. 만약 낯선 곳에서 소음 때문에 쉽사리 잠들지 못하는데 귀마개가 하나뿐이라면 어느 쪽에 꽂는 것이 나을까? 바로 오른쪽이다. 처음에 우뇌가 잠들고 그동안 좌뇌가 경계를 서는데, 신체의 한쪽에서 느끼는 감각이나 한쪽 귀로 들어온 소리는 뇌의 반대쪽 반구에서 처리되기 때문이다. 여성과 남성이 사무실에서 다르게 추위를 느낀다면 누구에게 온도를 맞추는 것이 경제적일까? 사무실 내 온도에 관한 한 만족스러운 중간이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온도를 올리는 것이 좋다. 온도를 올리면 여성의 성과가 높아지는 정도가 남성의 성과가 낮아지는 정도보다 더 크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입증됐기 때문이다.
테니스 선수들은 코트 위에서 왜 유독 괴성을 지를까?
하나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나은 판단을 내리는 법
우리를 둘러싼 자극에 대한 반응은 결국 진화의 산물이기도 하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찌푸린 표정보다는 미소를 선호하도록 진화했다. 광고 속에 등장하는 아날로그시계는 거의 항상 10시 10분을 가리키고 있는데, 그 이유는 시계가 10시 10분을 가리키면 마치 사람이 미소 짓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는 시계의 품질과는 아무 관련이 없지만, 실험적 증거에 따르면 사람들은 분명 10시 10분을 가리키는 시계를 더 선호한다. 이 같은 진화적 트리거는 미묘하게, 때론 노골적으로 고객들이 지갑을 열게끔 유도한다. 아마 이 책을 읽고 나면 얼마나 많은 기업이 이미 사람들의 감각을 마케팅에 이용하고 있는지 깨닫고 배신감을 느끼게 될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생활과 산업 곳곳에서 인간의 감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우선 감각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게 아니라 항상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다. 우리는 ‘오감’이라고 부르는 각각의 감각을 별개의 시스템으로 여긴다. 그러나 감각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이 그리고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커피머신에서 나는 소음이 원두의 종류 못지않게 커피의 쓴맛에 영향을 준다. 소리를 조작해 맛을 다르게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감각의 상호작용은 ‘다중감각’에서 기인한다. 우리가 무언가를 느낄 때는 하나의 감각이 아니라, 여러 감각을 인지한다.
다중감각이 작동하는 방식(감각 통합)을 이해하면 하나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신뢰할 만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테니스 경기에서 선수들이 소리를 지르는 이유를 들 수 있다. 선수의 포효는 단순히 신체적 반응이기도 하지만, 상대 선수가 공 맞는 소리를 잘 듣지 못하게 하는 전략일 수도 있다. 독일 예나대학교의 한 실험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라켓이 공을 때릴 때 나는 소리의 크기에 따라 공의 착지 지점을 실제와 다르게 예상했다. 그들은 공이 라켓에 맞는 장면을 명확히 볼 수 있었지만, 실제 소리보다 큰 소리를 들으면 공이 더 멀리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테니스 선수가 경기 중에 괴성을 지르면, 상대방은 공이 떨어질 위치를 제대로 판단하기 힘들다.
포옹의 촉감을 멀리 떨어져 있는 타인에게 전하는 것이 가능할까?
팬데믹 시대의 사회적 고립부터 최신 과학이 보여주는 감각의 미래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계속되면서 인간이 가장 방치하고 있는 감각은 바로 촉각이다.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거대한 감각기관이다. 사람 간의 신체적 접촉은 물리적 고통마저 완화할 수 있다. 만약 인터넷을 통해 멀리 있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애무나 포옹을 보낼 수 있다면 많은 사람이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을 일부라도 해결할 수 있을까? 놀랍게도 촉각 자극을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의류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이런 디지털 매개 접촉이 실제 대인 접촉과 동일한 효과를 주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는 온도의 문제일 수도, 페로몬과 같은 화학적 감각 신호의 문제일 수도 있다. 결국 포옹의 행위인 ‘움직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다중감각적 현상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이다. 우리가 타인을 만지는 경험은 단순히 촉각에 의한 것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편, 감각의 미래는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 우리는 이제 ‘오감’뿐 아니라 자기장 감각, 지진 감각, 그리고 이보다 더 기이한 새로운 감각을 인지하게 될 수도 있다. 카탈루냐의 사이보그 활동가인 문 리바스는 팔에 삽입한 이식물을 통해 지진 활동을 느낄 수 있다. 런던에 본사를 둔 사이보그네스트는 ‘노스 센스’라는 장치를 판매하는데, 이 장치는 인간이 지구 자기장의 북쪽을 향할 때마다 장치를 부착한 가슴에 진동을 보낸다. 북쪽을 지각한다는 경험이 우리에게 어떤 효용을 줄까? 그리고 그걸 지각하는 인간의 감각은 어떻게 변화할까? 현재로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언젠가는 정말 새로운 감각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인의 피할 수 없는 숙명, 감각 과부하와 감각 불균형의 시대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자연이 그 해답이 될 수 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도시인들은 너무 많은 소음과 정보로 인한 감각 과부하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기기에서 울려대는 각종 알람만 해도 그렇다. 이 때문에 실리콘밸리에서는 ‘도파민 단식’이라고 불리는 모든 형태의 사회적 접촉을 단기간 끊는 형태의 방법이 유행하기도 했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우리가 고통받는 대부분의 과도한 자극은 청각과 시각에 의존한다. 너무 많은 냄새나 맛 때문에 고통받는 경험은 낯설 것이다. 저자는 단순히 과도한 자극보다는 감각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게 진짜 문제라고 주장한다. 감각 자극의 올바른 균형은 건강과 생산성, 웰빙에 필수적인 요건이다. 이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자연에서 찾을 수 있다.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자극은 다중감각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을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이나 여가를 보내는 ‘상황’으로 구성했지만, 책의 여러 장에 걸쳐 ‘자연’의 이로움에 대해 반복적으로 설명한다.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은 자연에서 시간을 보낼수록 인간에게 유익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고 있었다. 자연에 잠깐이라도 노출된 인간은 스트레스에서 더 빨리 회복한다. 수많은 연구가 인간이 자연에 있을 때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느낀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저자는 이 주장의 근거로 에드워드 윌슨의 ‘바이오필리아 가설’과 스테판 캐플런의 ‘주의력 회복 이론’을 인용한다. 우리는 이처럼 자연이 주는 이점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왜 더 자주 밖으로 나가지 않을까? 그건 우리의 정서적 예측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정확히 얼마나 더 기분이 좋아질지 예상하지 못하는 것이다. 단순히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완전한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경험’이 필요하다. 감각의 효용도 마찬가지이다. 감각의 힘을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말고, 더 적극적으로 실생활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단 밖으로 더 자주 나가 자연을 경험하고 감각의 균형을 회복하도록 하자. 분명 그럴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