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앞으로 올 사랑 - 디스토피아 시대의 열 가지 사랑 이야기

앞으로 올 사랑 - 디스토피아 시대의 열 가지 사랑 이야기

저자
정혜윤 지음
출판사
위고
출판일
2020-12-04
등록일
2021-02-09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27M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새로운 상황은 새로운 사랑 이야기를 필요로 한다”

백만 명이 넘게 사망한 이 디스토피아 시대에 삶을 사랑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코로나와 기후위기의 시대, 우리는 서로를 어떻게 지켜줄 수 있을까?
디스토피아 시대의 열 가지 사랑 이야기
아직은 없던 사랑, 앞으로 올 사랑의 모습들

● 2020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왔는가에 답해야 한다
_코로나와 기후위기 이후 완전히 달라진 삶, 달라져야 할 삶 앞에서

2020년은 인류사에 전례 없는 혼란으로 기억될 것이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3개월 남짓 되는 기간에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국경은 폐쇄되고, 우리는 모두 각자의 집에 갇혔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코로나로 백오십만 명 넘는 사람이 죽었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이 죽음 직전의 위기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여름에는 지구가 들끓었다. 57일간의 유례없는 긴 장마, 세계 곳곳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과 폭염으로 수많은 사람들과 동물들이 죽음에 이르렀다. 우리 시대는 전에 없는 ‘변화’를 앞두고 있다.

한번 변화의 흐름을 탄 사회는 절대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변화가 피할 수 없는 것이라면 어떻게 해야 새로운 세계로, 삶으로 잘 들어갈 수 있을까? 저자는 변화에 앞서 우리가 잃은 것, 슬픔과 고통, 죽음 등에 대해 알고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죽음의 경험이 우리에게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면 우리가 어떻게 삶을 지켜낼 수 있겠는가? 이제 코로나와 기후위기는 일자리, 식량, 생명, 죽음 등 인간의 거의 모든 문제에 관여하기 시작할 것이다. 우리의 미래, 우리의 인간적 가능성은 꽤 오랫동안 코로나와 기후위기라는 단어들 위에 구축될 것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위험은 모두 인간과 생태의 잘못된 연결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리는 침이나 마스크, 플라스틱 재사용 말고 더 근본적인, 더 본질적인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한다. 그것만이 ‘코로나 2021’ 같은 감염병의 반복과 다가올 기후 재앙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는 처음 겪는 일이지만 수세기 전의 누군가는 겪었을 것이다
_보카치오는 흑사병의 어둠을 어떻게 걷어냈을까?

전 세계가 코로나와 기후위기로 들끓던 여름, 저자에게는 한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우리는 처음 겪는 일이지만 수세기 전의 누군가는 겪지 않았을까? 그는 흑사병과 피렌체의 빼어난 인문학자 보카치오를 떠올렸다. 보카치오는 흑사병이 창궐하던 피렌체에서 부모와 친구들을 잃고 큰 충격에 빠졌다. 그런 보카치오가 구상한 책이 『데카메론』이다. 흑사병 시대의 어둠을 보카치오는 어떻게 걷어냈을까?

흑사병이 유럽을 휩쓸던 14세기가 배경인 『데카메론』은 흑사병을 피해서 피렌체 ?교외의 별장으로 옮겨 온 숙녀 7명, 신사 3명이 10일간 체류하며 나무 그늘에 모여 앉아 나눈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한 사람이 한 가지씩 하루에 열 가지의 이야기, 모두 백 개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이야기의 주제는 대부분 연인들의 사랑이다.

● 긴급하게 사랑이 필요하다
_사랑의 확장 그리고 연결에 관하여

흑사병이 초토화시킨 세상에서 ‘사랑’이라니, 저자는 『데카메론』이 슬픈 책일 것이라고, 하지만 그 시대에 꼭 필요한 말이 담겨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사랑이라니. 하지만 어쩌면 정말 사랑일지도 모른다. 우리 시대는 긴급하게 사랑을 필요로 한다. 각자의 집에 갇혀 있는 우리는 다른 어느 때보다도 더 우리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코로나는 우리가 그토록 오래 ‘자아!’ 혹은 ‘나!’를 외쳤지만 우리가 조금도 독립적이지 않고, 그렇기는커녕 서로의 운명에 심하게 의존적이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그 관계 속에 우리가 거의 생각하지 않고 살았던 박쥐나 야생동물, 자연도 포함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인간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동물과 인간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아는 것이다. 우리의 임무는 우리의 존재를 우리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고, 코로나는 그 다른 존재에는 반드시 동물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백히 했다.

● 다시 한번 문학의 힘을 빌릴 때
_알아차리고 읽어내기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피디인 저자는 코로나 초기부터 코로나의 본질적 원인에 대한 취재를 깊이 했다. 그러나 그는 이 책에서 취재를 통해 얻은 ‘사실’보다는 문학작품을 더 많이 인용한다. 왜냐하면 언제나 “문학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차리게’ 도와주기” 때문이고 “그 연쇄작용으로 우리는 삶도 더 잘 읽어내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늘 상황을 잘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 순간을 살아내느라 정신이 없다. 의미는 얼마 뒤에야 따라온다. 지금이 바로 그런 순간이다.

저자는 『데카메론』의 형식을 빌려 열 가지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지구 온난화 시대의 대하소설”인 마거릿 애트우드의 미친 아담 3부작, 살쾡이의 잊을 수 없는 운명을 그려낸 루이스 세풀베다의 『연애 소설 읽는 노인』, 잔인한 공장식 축산과 유전자 조작 식물에 관해 폭로한 미셸 우엘벡의 『세로토닌』, 고독한 노동 한가운데에서 잠시나마 함께 있는 일의 온기를 느낄 있는 순수한 시간에 관한 존 버저의 이야기, 히틀러의 부대로부터 식물 종자를 지킨 바빌로프와 그의 동료들의 이야기는 개인과 사회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동물과 인간이 어떻게 잘못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동시에 나아가 우리에게 지금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알아차리게’ 해준다. 저자는 말한다. “상상해본 적 없는 거대한 단절의 시기인 지금, 이 균열 속에서 좋은 무엇인가가 나와야 한다.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 우리에게 아무런 힘이 없다고 생각하는 순간, 어리석음은 꽃피고 나쁜 일은 벌어진다.”

QUICKSERVICE

TOP